[뉴스포커스] 문대통령, 신년사 통해 올해 국정운영 방향 설명<br />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이 잠시 후 2021년 신년사를 통해 집권 5년 차인 올해 국정운영 방향을 밝힙니다.<br /><br />최근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었던 전직 대통령 사면론과 대북 메시지 등에 대한 대통령 입장이 나올지도 주목됩니다.<br /><br />박수현 더불어민주당 홍보소통위원장, 성승환 기자와 대통령 신년사 짚어봅니다.<br /><br /> 문재인 대통령이 잠시 후 2021년 새해 대통령 신년사를 발표합니다. 신년사,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. 7일엔 진행된 신년인사회와 18일 예정된 신년기자회견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문대통령, 이번 신년사 준비를 위해 아무런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직접 원고를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신년사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대통령이 직접 작성하는 겁니까? 신년사 준비 과정도 궁금한데요.<br /><br /> 가장 궁금한 건 역시 어떤 내용이 담길까 하는 부분인데요. 나오는 기사들을 보면 오늘 신년사 키워드는 일상회복, 선도국가 도약, 포용성 강화라고 하더라고요.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?<br /><br /> 박 대변인께서는 이외에 어떤 발언들에 주목하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정치권 논란이 컸던 '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면' 관련 언급이 있을지도 주목됐는데요. 관련 언급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고요?<br /><br /> 일각에서는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 대법선고 확정 이후 신년기자회견에서 구체적 사면관련 언급이 나올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습니다.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 관련 발언이 나온다면, 수위는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또 주목할 부분이 바로 대북 메시지인데요. 과거 신년사를 돌아보면, 문 대통령 많은 시간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주목하고 관련 언급을 하는데 시간을 할애 하지 않았습니까? 올해는 어떨까요? 문대통령 신년인사회에서는 '평화'를 한차례 언급하는데 그쳤는데요?<br /><br /> 대통령 신년사 함께 들으셨는데요. 먼저 오늘 대통령 신년사, 어떻게 평가하시겠습니까?<br /><br /> 대통령 신년사 중 주목할 만한 부분들을 짚어볼텐데요.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, 어떤 언급이 있었습니까?<br /><br /> 코로나19 대응 신년사에 대해 어떻게 들으셨습니까?<br /><br /> 한반도 프로세스 관련 언급도 정리를 해주시죠.<br /><br /> 한반도 프로세스 관련 발언은 어떻게 들으셨습니까? 답보 상태인 한반도 문제에 해법이 될 수 있으리라 보십니까?<br /><br /> 문재인 정부 처음 들어서면서 했던 공약중 하나가 공정에 대한 부분입니다. 오늘 신년사에서도 사회가 공정하다는 믿음이 있을 때 우리는 함께 사는 길을 선택할 수 있다, 이런 내용이 있는데요, 이 부분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부동산 관련 올해 구체적 운영 방향에 대한 언급도 있었나요? 정리해 주신다면요.<br /><br /> 관련 내용은 어떻게 들으셨습니까? 심각한 부동산 문제 해법 실마리가 될 수 있겠습니까?<br /><br /> 1년의 국정운영 기조를 발표하는 신년사인데요. 신년사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면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다른 국가들과의 교류 협력에 대한 내용도 있었습니다. 특히 일본과 관련해서는 한일 관계가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위해서 노력을 해 나가겠다, 이런 언급을 했습니다.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대통령의 오늘 신년사에서는 회복, 포용, 도약의 해 이 부분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강조를 했습니다. 이 부분은 어떻게 봐야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